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IC434

[지구온난화] - 이산화탄소의 생물학적/지질학적 저장 본문

대기과학

[지구온난화] - 이산화탄소의 생물학적/지질학적 저장

청파소나타 2022. 12. 5. 12:10
반응형

생물학적 저장

광합성 생물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유기물로 전환해 생물권에 저장한다. 삼림의 벌채나 화전 농업을 제한하고, 해양에서 광합성 생물의 활동이 활발해질 수 있도록 철 등의 결핍 영양성분[각주:1]을 인위적으로 공급한다. 이를 통해 생물권에 저장되는 탄소의 양을 늘린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의 경우, 부영양화로 산소 결핍 환경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다. 


지질학적 저장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지권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물에 녹여 공극률이 어느정도 있는 지층에 집어 넣는 것이다.  과거 유전 개발 할 때, 지하에 생긴 빈 공간에 물을 집어넣고 마무리 했는데, 여기 이산화탄소를 녹여 집어 넣자는 의견이 있다. 

문제는 이런 방법을 시행했을 때 땅속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 지 모른다는 것이다. 가령, 오클라호마 지역에서는 폐수정에 주입된 물이 지하의 단층에 가하는 압력을 변화시켜서 단층을 활성화시켜 지진을 발생시켰으며 한반도의 포항 지진도 이러한 현상을 원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1. 일반적으로 광합성에 필요하나 부족한 영양성분. 이러한 영양성분이 공급되면 광합성이 활발해짐 [본문으로]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