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지질학/암석학 (3)
IC434
화산쇄설물은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이런 화산쇄설물이 쌓여 만들어진 암석을 응회암(tuff)이라 부른다. 명칭 화산암괴(volcanic block) 화산탄(volcanic bomb) 화산력(lapilli) 화산회 혹은 화산재(volcanic ash) 화산진(volcanic dust) size >64mm >64mm 2-64mm
규산염 광물(Silicates) Si-O 규산염 사면체가 다른 이온들과 결합하여 형성. 지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광물로, 조암광물들은 대부분이 Silicate에 해당한다. - Feldspar group : 장석. 지각 내에서 가장 흔한 광물로, 주로 대륙 지각에 가장 많다. - Quartz : 석영. Si와 O만으로 이루어진 흔한 규산염 광물이다. - 그 외에도 Mica group, Amphibole group, Pyroxene group 등 광물 결정 구조의 배위다면체(Coordination polyhedron)을 바탕으로 규산염광물을 분류할 수 있다. 배위다면체 독립사면체형(Nesosilicate) 복사면체형(Sorosilicate) 환형(Cyclosilicate) 쇄형(Inosilicate) 층상(..
먼저, '암석'이란 무엇인가? 부터 시작해보자. 필자는 rock을 굉장히 좋아한다. 암석이란, 쉽게는 광물의 집합이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꼭 광물만을 포함하지는 않는다. 유리나 변질된 유기물이 포함되기도 하고, 이들이 섞여 만들어지기도 한다. 일단 중요한 것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졌고, 고체상태라는 점이다(광물의 정의와도 비슷하다). 암석은 기본적으로 세 가지로 분류된다. 퇴적암, 화성암, 변성암이다. 기원과 형성 과정에 의한 분류라고 보면 될듯하다. 다만, 알아둘 점이 있다. 언제나 그렇듯이, 이런 분류는 그저 인위적으로 그어진 경계라는 점이다. 자연을 연구하며 과학을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으로 나누지만 사실 전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듯이.. 암석의 변화는 연속적이다. '정의'와 '분류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