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434
별자리] 오리온자리 본문
겨울철 남쪽 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별자리인 오리온자리를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오리온자리에는 맨눈으로 보일만큼 밝은 천체들이 많이 있으며 전체적인 모양도 쉽게 익혀지기에, 도심에서도 금방 찾을 수 있는 별자리 중 하나이다.
※각 천체의 특성 중 물리적인 수치(거리, 광도 등)의 경우, 필자도 모르기에 본 글에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전체적인 구성 -신화와 밝은 별들
대략 이런 위치 관계를 가진 친구이다. 오리온이 두 사냥개와 함께 황소에 맞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포세이돈의 아들, 오리온은 아르테미스와 사랑하는 사이였다. 그러나 아르테미스의 쌍둥이 오빠인 아폴론이 이에 불만을 품고, 아르테미스에게 오리온을 활로 맞추는 내기를 권유한다. 아폴론은 오리온을 금빛으로 씌웠고, 아르테미스는 그것이 오리온인 줄 모른 채 활로 쏘게 된다(아르테미스는 달과 사냥의 신이다). 이후 아르테미스는 자신이 쏜 것이 오리온이었음을 알게 되고, 제우스는 이런 아르테미스의 슬픔을 달래주고자 오리온을 하늘의 별자리로 만들었다.....대략 이런 내용의 신화가 있다.
오리온자리 주변에는 두 사냥개를 이루는 밝은 별인 시리우스와 프로키온이 보이는데, 이들은 오리온자리의 베텔게우스와 함께 '겨울철 대삼각형'이라 불린다. 1
천구 적도 부근에 있는 밝은 세 개의 별은 왼쪽부터 알니탁, 알닐람, 민타카이다. 이들은 오리온자리의 허리띠를 이루며, 삼성(參星)이라고도 불린다. 이들을 중심으로 크게 4개의 밝은 별이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들 중 위쪽의 어깨를 구성하는 두 밝은 별은 각각 베텔게우스(Betelgeuse)와 벨라트릭스(Bellatrix)이고, 아래쪽의 다리를 구성하는 것은 각각 사이프(Saiph)와 리겔(Rigel)이다. 2
오리온자리의 α별인 베텔게우스는 주황빛을 띠는 적색 초거성으로, '겨울철 육각형 3'의 중심에 위치한다. 4 오리온자리는 β별인 리겔은 베텔게우스와 달리 푸른색을 띠는 청색초거성이다. 독특하게도 오리온자리는 β별인 리겔이 일반적으로 베텔게우스보다 밝은데, 베텔게우스가 알파별로 정해진 데에는 베텔게우스가 변광성이라는 점, 리겔보다 높이 있는 일등성이라는 점 등이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오리온의 칼 -오리온 대성운(M42), 트라페지움
위 사진에서 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 오리온의 칼이라 불리는 영역에는 M42, 트라페지움(사다리꼴 성단), M43, NGC 1977(NGC 1975, NGC 1973) 등이 있다.
오리온 성운(M42, NGC 1976)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을 만큼 굉장히 밝은 성운으로, 가스와 먼지들에 의해 별들이 활발히 탄생하고 있는 영역이다. 오리온 대성운 사진...
만약 오리온 성운을 망원경을 통해서 본다면, 사진에서와는 다른 색을 느낄 수 있다고 한다. 흔히 사진에서 붉은색으로 나타나는 모습과 달리 초록 색조가 나타나는데, 이는 우리 눈의 민감성 차이 때문이다. 우리 눈은 성운을 붉은색으로 보이게 하는 수소 복사에는 둔감하나, 이중이온화산소(O2+)에 의한 초록색 복사는 잘 인식하여 초록 색조를 느낀다. 5
오리온 성운에 위치한 트라페지움(Trapezium)은 밝은 별들로 이루어진 성단이다. 4개의 밝은 별들이 사다리꼴 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은 오리온자리 세타라고도 불린다. 이들은 성운에서 탄생한 젊은 별들로, 서쪽부터 순서대로 A~D라 구분된다. 사다리꼴의 북동쪽, 남서쪽에 트라페지움을 이루는 다섯 번째, 여섯 번째 별인 트라페지움 E와 F도 존재하나, 이들은 좋은(안정된) 대기 조건에서만 망원경을 통해 구분 가능하다. 6
추가적으로, 오리온 성운에서 북쪽을 보면 희미하게 별들이 모여있는데, 이들은 NGC 1973, 1975, 1977이다. 쌍안경 혹은 망원경으로 관측하는 경우 이 북쪽에서 NGC 1981 성단 또한 찾을 수 있다.
말머리 성운과 마귀할멈 성운
유명한 암흑 성운인 말머리 성운(Horsehead nebula) 또한 오리온 자리의 허리띠 중 알니탁 옆에 위치한다. 말머리 성운 사진...
밝은 발광 성운인 IC434의 주변을 따라 분포하며, 두꺼운 먼지가 뒤의 빛을 차단하여 우리가 아는 검은 말머리 모양을 형성하는 것이다.
사진에서 보이는 진한 말머리 모양의 구름은 그 모습이 유명하나, 사실 매우 작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다. 망원경을 사용하더라도 실제로 관측하기는 어려운 대상이다.
유명한 반사 성운인 마귀할멈 성운(Witch Head Nebula)의 모습이다. 마귀할멈 성운 사진...
오리온자리 베타별인 리겔의 옆에 위치하며, 리겔의 빛을 반사시켜 푸르게 보인다. 성운의 푸른색은 리겔이 청백색이라는 점과 마귀할멈 성운을 구성하는 먼지 입자들이 붉은색의 빛보다 푸른색의 빛을 더 잘 산란시킨다는 점에 기인한다. 마녀머리 성운이라고도 부르는데, 두 이름 모두 푸른 성운의 모습이 마녀의 머리를 닮았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겨울철 밤하늘은 정말 아름답다. 오리온자리의 밝은 별들과 카펠라, 시리우스, 프로키온, 알데바란, 폴룩스 등등...
사실 블로그 이름이 IC434라 오리온자리에 대한 얘기를 첫 글의 주제로 잡았다. IC434만에 대해 쓰기에는 내용이 별로 없어서... 쓸거리가 많다고 생각했는데 좀 잡다한 내용만 채운 것 같기도 하고...
https://music.youtube.com/watch?v=HVQ24DcJZ54&feature=share
Moonlight Shadow (Remastered) - YouTube Music
Provided to YouTube by Universal Music Group Moonlight Shadow (Remastered) · Mike Oldfield Crises ℗ 2013 Oldfield Music Limited, under exclusive license t...
music.youtube.com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측] 망원경으로 천체 찾는 팁 (0) | 2022.11.27 |
---|---|
[천체] 게자리 - M67 산개성단 (King Cobra Cluster) (0) | 2022.02.22 |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 변화 주기성 (0) | 2022.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