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IC434

[천체] 게자리 - M67 산개성단 (King Cobra Cluster) 본문

천문학

[천체] 게자리 - M67 산개성단 (King Cobra Cluster)

청파소나타 2022. 2. 22. 22:41
반응형

게자리에 있는 가장 유명한 천체는 아마 M44일 것이다. 지구와 가까워 밝고 커다란 M44 산개성단은 프레세페 성단(Praesepe) 또는 벌집 성단(Beehive Cluster)이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게자리의 또 다른 산개성단인 M67(NGC 2682, King Cobra Cluster)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M67은 게자리의 알파별 아쿠벤스(Acubens)의 가까운 서쪽에 있는 산개성단이다. 쌍안경으로도 충분히 관측하기 좋은 M44보다 5배는 더 먼 거리에 있어 더 작고 희미하게 보인다. 

 

M67, Acubens(alpha Cnc) / Stellarium 0.19.2

 

육안으로 밤하늘을 올려다보거나 쌍안경으로 관측한다면, M67은 그리 좋은 관측 대상은 아니다.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고,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뒤집힌 Y자 느낌의 게자리를 먼저 찾은 후 가장 동쪽에 있는 아쿠 벤스로부터 살짝 서쪽 지점을 찾아가면 된다.

 

아무튼 M67은 나름의 독특한 매력을 가진 천체이다.

M67의 나이는 무려 30억 년[각주:1]이 넘는다. 알려진 가장 오래된 성단 중 하나인 동시에, 오래된 성단 중에서는 지구와 굉장히 가까운 천체이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인 산개성단의 이미지와는 조금 다른 느낌이다.

 

M67 / Stellarium 0.19.2

 

별들이 시야상에서 불규칙하게 고밀도로 몰려 있으며, 붉은빛을 띠는 밝은 별들을 볼 수 있다.

총 500여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는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들 중 무거운 별들은 성단의 중심으로, 덜 무거운 별들은 외부 영역으로 이동해가는 질량 분리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약 30개의 청색 낙오성[각주:2] 외에는 거의 비슷한 나이로 비슷한 거리에 위치하며 분광 등급 또한 가장 푸른 것이 F이다. 


더보기

졸업논문으로 이 산개성단을 CCD 측광하는 연구를 했다. 괜히 파이썬으로 자료 처리 해보겠다고 원대한 포부를 갖고 시작해서 고생했다. 그렇지만 그 덕분에 어쩌다보니 리눅스도 접해 공부하게 됐었고, (미루고 미루다가 입시로 바쁜 기간에 결과 정리를 시작해서 솔직히 좀 많이 용두사미긴 하지만...) 상대평가인 덕분에 금상 받았다. 하지만 다시 돌아간다면 천문 말고 쉬운 거..

https://music.youtube.com/watch?v=Mc4_L8Abf6k&feature=share 

 

기타로 오토바이를 타자 Motorcycle Guitar Ride - YouTube Music

Provided to YouTube by DFSB_Kollective 기타로 오토바이를 타자 Motorcycle Guitar Ride · 산울림 Sanullim 제13집 Volume 13 ℗ 2008 Loen Entertainment/Epari Entertainium Rel...

music.youtube.com


 

  1. 32~50억 년으로 추정, 구성 별들의 평균 나이는 약 40억 년이라고 합니다. 일부 도서의 경우 26억 년이라 나와 있음. 정확한 최신 수치는 확인 필요. [본문으로]
  2. Blue straggler. 성단에서 쌍성이 하나로 합쳐지는 등의 요인으로 인해 나이에 비해 고온을 나타내는 항성을 말한다. [본문으로]
728x90

'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측] 망원경으로 천체 찾는 팁  (0) 2022.11.27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 변화 주기성  (0) 2022.02.22
별자리] 오리온자리  (0) 2022.02.2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