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48)
IC434

신선함 ★★★★★ 난해함 ★★★★☆ 대중성 ★☆☆☆☆ 전체 앨범의 구성 ★★★★★ 개인적인 평점 9/10 1991년의 대표 명반들을 뽑는다면 단언컨대 1위는 너바나의 [Nevermind]나 마이클 잭슨의 [Black or White]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그렇지만 나는 그 사이에 이 앨범도 살짝 언급하고 싶다. 참고로... 이전에 소개한 신해철의 [Myself]도 91년 앨범이다 [Spiderland]는 미국 4인조 락 밴드인 슬린트의 대표적인 앨범이다. 1989년에 1집 Tweez를 발매한 지 2년 뒤인 91년에 이 앨범을 발매한 후 해체했다. 밴드 멤버 모두 1990년 당시 20대 초반으로 진로에 대한 고민이 많았으며 학업과 곡 작업을 병행하느라 어려움이 많았다고 한다. 아무튼 그런 와중에 그들은 ..

지질학 관련 가상 필드 splitpoint | Virtual tour generated by Panotour (ausgeol.org) splitpoint | Virtual tour generated by Panotour www.ausgeol.org Marble Bar (asu.edu) Marble Bar Loading... This content requires HTML5 with CSS3 3D Transforms or WebGL. Please enable Javascript! vft.asu.edu 온라인으로 지질답사를 할 수 있는 Virtual Field이다. 특정 지점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거나, 암석에 대한 설명을 함께 볼 수 있다. 암석 및 화석 https://sketchfab.com/AusGeol..

신선함 ★★★★★ 난해함 ★★★☆☆ 대중성 ★★★☆☆ 전체 앨범의 구성 ★★★★★ 개인적인 평점 10/10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인 핑크 플로이드의 11번째 앨범이다. 핑크 플로이드는 (워낙 유명하지만) 간단히 소개하자면, 그야말로 '천재적인' 록밴드이다. 1960년대 중반에 결성되어 초기의 시드 바렛 시절에는 주로 사이키델릭 록을 연주했지만 점차 프로그레시브 록으로 장르가 바뀌었다. 상업적으로도 매우 성공하였으며 다양한 실험적인 음악에 도전하며 수많은 명반을 남겼다. 특히 [The Dark Side of the Moon], [Wish You Were Here], [The Wall]이 명반으로 유명한데, [The Dark Side of the Moon]의 프리즘 모양은 어디선가 보았을지도 모르겠다...

신선함 ★★★☆☆ 난해함 ☆☆☆☆☆ 대중성 ★★★★★ 전체 앨범의 구성 ★★★★★ 개인적인 평점 8/10 1991년 발매된 신해철이 두 번째 앨범이다. 앨범 이름이 Myself인 것 답게, 수록된 모든 곡은 작사, 작곡은 물론이고 연주까지 신해철이 직접 했다고 한다. 신해철은 잘 알려져 있지만... 1988년에 MBC 대학가요제에서 무한궤도라는 밴드로 처음 데뷔하였다. 이때 수상한 곡이 바로 이 앨범에서도 리메이크된 이다. 대학가요제로 데뷔한 후 무한궤도는 금세 해체되었고, 이후 그는 솔로로 데뷔한다. 솔로 2집인 [Myself]를 발매한 이후에는 넥스트를 결성해 활동하였다. 넥스트 이후에도 솔로 앨범을 내고 비트겐슈타인이라는 밴드를 결성해 활동하기도 했지만... 개인적으로는 넥스트 시절까지의 음악을 좋..

게자리에 있는 가장 유명한 천체는 아마 M44일 것이다. 지구와 가까워 밝고 커다란 M44 산개성단은 프레세페 성단(Praesepe) 또는 벌집 성단(Beehive Cluster)이라고도 불린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게자리의 또 다른 산개성단인 M67(NGC 2682, King Cobra Cluster)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M67은 게자리의 알파별 아쿠벤스(Acubens)의 가까운 서쪽에 있는 산개성단이다. 쌍안경으로도 충분히 관측하기 좋은 M44보다 5배는 더 먼 거리에 있어 더 작고 희미하게 보인다. 육안으로 밤하늘을 올려다보거나 쌍안경으로 관측한다면, M67은 그리 좋은 관측 대상은 아니다. 육안으로는 잘 보이지 않고,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뒤집힌 Y자 느낌의 게자리를 먼저 찾은..

달은 지구 주위를 공전하며 약 한 달에 한 번 근지점에 위치한다. 그런데 4월과 5월의 근지점 거리는 다르다. 이 거리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궁금하지 않은가. 이에 대해 간단히 서술해보려 한다. 지구-달 계 모행성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비교할 때 태양계 내에서 크고 거대한 위성에 속한다. 지구와 달 사이의 평균 거리는 384,405km이고, 지구-달 계의 질량중심은 지구의 중심으로부터 4,671km인 거리에 위치한다. 즉, 지구와 달은 계의 질량 중심은 지구 지표면에서 1,707km 아래 지점을 중심으로 매달 한 번씩 회전한다. 지구와 달의 거리는 달 표면으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레이더 펄스를 이용하거나 아폴로 우주인이 달 표면에 설치한 레이저광 펄스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달까지의 거리는 궤도 이심..

겨울철 남쪽 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별자리인 오리온자리를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오리온자리에는 맨눈으로 보일만큼 밝은 천체들이 많이 있으며 전체적인 모양도 쉽게 익혀지기에, 도심에서도 금방 찾을 수 있는 별자리 중 하나이다. ※각 천체의 특성 중 물리적인 수치(거리, 광도 등)의 경우, 필자도 모르기에 본 글에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전체적인 구성 -신화와 밝은 별들 대략 이런 위치 관계를 가진 친구이다. 오리온이 두 사냥개와 함께 황소에 맞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더보기 포세이돈의 아들, 오리온은 아르테미스와 사랑하는 사이였다. 그러나 아르테미스의 쌍둥이 오빠인 아폴론이 이에 불만을 품고, 아르테미스에게 오리온을 활로 맞추는 내기를 권유한다. 아폴론은 오리온을 금빛으로 씌웠고, 아르테미스는 그것..
.